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풀 브릿지 다이오드와 일반 브릿지 다이오드의 차이점

by 지역사람 2025. 7. 12.

풀 브릿지 다이오드와 브릿지 다이오드의 차이점을 정리하고, 회로 설계에 적합한 선택법과 추천 조합을 상세히 안내합니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검색함 브릿지 다이오드 사진
브릿지 다이오드@알리익스프레서 인용

 

전자 회로를 다루다 보면 "풀 브릿지 다이오드"와 "브릿지 다이오드"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언뜻 보면 동일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구성 방식과 사용 형태에서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두 용어의 정확한 의미와 실무에서 어떻게 구분하는지, 회로 설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명확히 짚어보겠습니다.

 

 

브릿지 정류기의 기본 원리

브릿지 정류기란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회로입니다. 이는 총 4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되며, 전류의 양 방향 흐름을 모두 같은 방향의 직류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회로 구성은 ‘풀 브릿지(full bridge)’라고 불리며, 이 구조 자체를 가리켜 ‘브릿지 정류기’라고도 합니다.

풀 브릿지 다이오드란?

풀 브릿지 다이오드는 4개의 개별 다이오드(예: 1N4007)를 납땜하여 브릿지 구조를 직접 만드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커스텀 회로나 특수한 부품 배치가 필요한 경우에 유리합니다. 다이오드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고, 열 분산도 유리합니다. 하지만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납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도 있습니다.

브릿지 다이오드란?

브릿지 다이오드는 4개의 다이오드를 하나의 패키지 안에 집어넣은 모듈입니다. DB107, MB6S, KBPC5010과 같은 모델이 대표적이며, 대부분 4핀 구조로 되어 있어 AC 입력 2핀, DC 출력 2핀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크기가 작고 설치가 간편하며, 양산 회로나 고정 회로 설계에 매우 적합합니다.

 

 

구성 비교

  • 풀 브릿지 다이오드: 1N4007, UF4007, 1N5408 등 개별 부품을 4개 직접 구성
  • 브릿지 다이오드: DB107, W10, KBPC5010 등 단일 패키지 부품

사용 목적 및 추천 용도

  • 풀 브릿지 다이오드: 커스텀 회로, 수작업 제작, 부품 교체가 쉬워야 하는 환경
  • 브릿지 다이오드: 자동화 생산, 공간 절약, 빠른 조립이 필요한 제품군

전기적 성능 차이는?

기본적으로 두 방식의 전기적 동작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패키지 형태의 브릿지 다이오드는 내부 발열이 집중될 수 있어 고전류 사용 시에는 방열판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풀 브릿지 다이오드는 다이오드를 넓게 배치하여 발열을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격 전류 및 내압 비교

제품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스펙 구성이 많습니다:

  • DB107: 1000V, 1A
  • MB6S: 600V, 0.5A
  • KBPC5010: 1000V, 50A (고전류 장비용)
  • 1N4007: 1000V, 1A (단일 다이오드)

 

 

실무 추천 조합

  • DIY 회로: 1N4007 × 4개 조합
  • 가전제품: DB107, MB10F
  • 태양광 인버터: KBPC3510, KBPC5010

회로 설계 시 고려사항

  • 패키지 크기와 냉각 조건을 고려해야 합니다.
  • SMPS 등 고속 회로에는 고속 다이오드(Fast Recovery Diode)를 추천합니다.
  • 고전류 회로에는 방열판 장착이 가능한 브릿지 다이오드를 선택해야 안정적입니다.

 

 

풀 브릿지 다이오드브릿지 다이오드는 기능적으로 동일하지만, 사용 목적, 설치 방식, 회로 환경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직접 제작의 자유도를 원한다면 개별 다이오드 조합을, 편리함과 공간 효율을 원한다면 브릿지 패키지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무에서는 부품 선정이 전체 회로의 안정성과 내구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