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대재해처벌법: 안전과 보건을 위한 법률 개요와 예방 조치

by 지역사람 2024. 1. 2.
반응형

대한민국에서 중대재해를 다루는 법률인 중대재해처벌법을 소개하고,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의 정의와 처벌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블로거로서 중대재해의 예방과 관련된 정보와 사례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인데요. 중대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와 관련된 어려운 부분과 팁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대한민국에서 중대재해에 대한 처벌과 예방을 다루는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법은 2022년 1월 27일에 시행되었으며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를 다루고 있습니다.

 

 

중대재해의 정의

중대재해처벌법은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를 구분하고 있습니다.

  • 중대산업재해: 산업안전보건법상 산업재해 중 사망자 1명 이상,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 2명 이상,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인한 직업성 질병자 1년 내 3명 이상 발생한 경우를 말합니다.
  • 중대시민재해: 특정 원료 또는 제조물, 공중이용시설, 공중교통수단의 설계, 제조, 설치, 관리상의 결함으로 인해 사망자 1명 이상, 2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 10명 이상, 3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질병자 10명 이상이 발생한 재해를 말합니다.

 

 

처벌 수위

이 법에 따르면 중대재해를 발생시킨 경우 사업주와 경영책임자 등에게 다음과 같은 처벌이 부과됩니다.

  • 사업주와 경영책임자 등은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
  • 법인 등은 50억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합니다.
  • 중대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보건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이행하지 않은 사업주나 법인 등에게는 5,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

사업주나 법인은 종사자의 안전·보건상 유해 또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재해예방에 필요한 인력 및 예산 등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에 관한 조치
  • 재해 발생 시 재발방지 대책의 수립 및 그 이행에 관한 조치
  • 중앙행정기관·지방자치단체가 관계 법령에 따라 개선, 시정 등을 명한 사항의 이행에 관한 조치
  • 안전·보건 관계 법령에 따른 의무이행에 필요한 관리상의 조치 경영책임자 등은 이러한 안전보건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반기 1회 이상 점검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